
공부를 하다가 도저히 객체, 클래스, 인스턴스라는 설명이 눈에 들어오지않아, 다시 복습을 진행했다.
객체 지향에 대해서 전혀 이해가 되지 않아 거의 찡얼거리면서 하는중˙˙ ˙근데 어찌해 해야지 해야지˙˙˙
최대한 쉽게 설명했으니 다시 공부하자 ! 저와 같이 공부하는 사람이 있다면 이걸 보고 이해하셨으면 좋겠어요˙˙˙
객체지향 절차지향의 차이
프로그래밍은 총 객체지향 / 절차지향이 있다.
절차지향은 "시간적 흐르대로, 순차적으로"가 중요한 키워드다.
만약 내가 카페를 운영을 한다.
절차지향 카페라면 직원 3명이라면 커피를 판매할 때 항상 이 절차를 따른다.

이 절차는 순서가 틀려서도 안되며 순서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면 커피를 판매할 수 없다
무조건! 이 순서대로만 판매를 한다고 했을때, 만약 손님이 많이 온다면 저 순서대로 하다가는 컴플레인이 걸릴게 뻔하다. 이렇다보니 시간의 흐름이 아닌 서로의 역할이 주어지는 객체화를 시키고 협력하는 객체지향으로 나왔다.
객체지향카페라면,

캐셔 1명, 바리스타 1명, 사장 1명을 고용하여 각자의 역할을 부여하여 일을 시키는것입니다.
장점은 캐셔가 일을 그만두게 되더라도 캐셔의 역할만 하는 직원을 다시 고용하여 대체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2) 객체(인스턴스) 와 메소드 그리고 클래스란 ?
그런데 여기서 객체지향을 더 공부하게 되면 객체 / 메소드가 나온다.
위에 객체지향 카페에서 객체를 설명해보면, [바리스타/ 캐셔/사장] 이 객체이며 그들의 속성은 [이름,매출,연봉˙˙˙]이고, 행동이 바로 메소드다.
여기에서 또 새로운 개념이 등장한다 바로 "클래스"이다.
바리스타라는 것에 대한 속성(이름,연봉 등등), 행동(메소드)을 "클래스"를 통해 미리 설계를 해놓는다.
클래스를 만드는 과장을 추상화 라고 한다.
추상화라는 것은 "내가 커피를 만드는 사람을 만들고 싶은데 이사람은 커피를 만드는 사람이고 이름과 연봉이라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처럼 추상적인 설계를 바탕으로 만든 것이 클래스이다.
그리고 이 클래스를 new 연산을 통해 생성하게 되면
추상적으로만 설계했던 것이 실제 바리스타라는 객체(=인스턴스)로 만들어지게 된다.

여기까지 간단한게 공부를 했으니 이제 다시 공부를 해보자.
'ON > 국비 전 독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습] 2. 객체지향에 대해서 공부하기 : 클래스 , 객체 (0) | 2023.03.29 |
---|---|
11. 클래스 맴버란 ? (0) | 2023.03.26 |
10. 클래스와 인스턴스 그리고 객체란? (0) | 2023.03.25 |
09.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란 ? (0) | 2023.03.24 |
[복습] 반복문으로 구구단을 만들자 (0) | 2023.03.21 |

공부를 하다가 도저히 객체, 클래스, 인스턴스라는 설명이 눈에 들어오지않아, 다시 복습을 진행했다.
객체 지향에 대해서 전혀 이해가 되지 않아 거의 찡얼거리면서 하는중˙˙ ˙근데 어찌해 해야지 해야지˙˙˙
최대한 쉽게 설명했으니 다시 공부하자 ! 저와 같이 공부하는 사람이 있다면 이걸 보고 이해하셨으면 좋겠어요˙˙˙
객체지향 절차지향의 차이
프로그래밍은 총 객체지향 / 절차지향이 있다.
절차지향은 "시간적 흐르대로, 순차적으로"가 중요한 키워드다.
만약 내가 카페를 운영을 한다.
절차지향 카페라면 직원 3명이라면 커피를 판매할 때 항상 이 절차를 따른다.

이 절차는 순서가 틀려서도 안되며 순서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면 커피를 판매할 수 없다
무조건! 이 순서대로만 판매를 한다고 했을때, 만약 손님이 많이 온다면 저 순서대로 하다가는 컴플레인이 걸릴게 뻔하다. 이렇다보니 시간의 흐름이 아닌 서로의 역할이 주어지는 객체화를 시키고 협력하는 객체지향으로 나왔다.
객체지향카페라면,

캐셔 1명, 바리스타 1명, 사장 1명을 고용하여 각자의 역할을 부여하여 일을 시키는것입니다.
장점은 캐셔가 일을 그만두게 되더라도 캐셔의 역할만 하는 직원을 다시 고용하여 대체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2) 객체(인스턴스) 와 메소드 그리고 클래스란 ?
그런데 여기서 객체지향을 더 공부하게 되면 객체 / 메소드가 나온다.
위에 객체지향 카페에서 객체를 설명해보면, [바리스타/ 캐셔/사장] 이 객체이며 그들의 속성은 [이름,매출,연봉˙˙˙]이고, 행동이 바로 메소드다.
여기에서 또 새로운 개념이 등장한다 바로 "클래스"이다.
바리스타라는 것에 대한 속성(이름,연봉 등등), 행동(메소드)을 "클래스"를 통해 미리 설계를 해놓는다.
클래스를 만드는 과장을 추상화 라고 한다.
추상화라는 것은 "내가 커피를 만드는 사람을 만들고 싶은데 이사람은 커피를 만드는 사람이고 이름과 연봉이라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처럼 추상적인 설계를 바탕으로 만든 것이 클래스이다.
그리고 이 클래스를 new 연산을 통해 생성하게 되면
추상적으로만 설계했던 것이 실제 바리스타라는 객체(=인스턴스)로 만들어지게 된다.

여기까지 간단한게 공부를 했으니 이제 다시 공부를 해보자.
'ON > 국비 전 독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습] 2. 객체지향에 대해서 공부하기 : 클래스 , 객체 (0) | 2023.03.29 |
---|---|
11. 클래스 맴버란 ? (0) | 2023.03.26 |
10. 클래스와 인스턴스 그리고 객체란? (0) | 2023.03.25 |
09.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란 ? (0) | 2023.03.24 |
[복습] 반복문으로 구구단을 만들자 (0) | 2023.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