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연산자

· ON/Oracle
DML (SELECT) 주요용어 행 : 가로 칼럼 : 세로 기본키 : 한개만 알고 있으면 그 키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다 알 수 있다. 외래키 : 테이블간의 연결 역할을 해서 관계를 만들어준다. Null : 값이 없음 // 자바는 null 참조하는게 없다 컬럼값 : 특정 값 SQL (Structured Query Language) 구조적으로 물어보는 것에 답변을 한다. ㄴ 남자 손들어보세요! 가 아닌, 남자인데 25살 이상이고 까만바지에 흰색 옷을 입고 있는 사람 손들어보세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조작하기 위해 사용하는 표준 검색 언어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 방법이나 절차를 기술하는 것이 아닌 조건을 기술하여 작성 분류 용도 명령어 DQL 데이터 검색 SELECT DML 데이터 조작..
· ON/JAVA
지난 시간에 이어 공부한 연산자를 작성해보겠다. 1. 연산자 1.비교 연산자 ㄴ >, =, b ); //false System.out.println( a = b ); //false System.out.println( a != b ); //true System.out.println( a == b ); //false 2. 논리연산자 ① && (엠퍼센트/and) and연산자는 좌항과 우황이 모두 '참' 일 때만 전체가 참이 됩니다. ㄴ~와, 그리고(이고), ~면서, ~이면서, ~부터,~까지 ~사이 int a = 100; // a는 100이상이면서 짝수인가 ? System.out.println(a>=100); //true System.out.println(a % 2 ==0); //true // && 를 이용해서..
4-1. 연산자란? 계산을 위해 정해진 약속된 기호들을 연산자라고 한다. ① 단항연산자 : 피연산자가 하나 존재 ex. + x / -x /!x (x를 고정) 단항연산자 설명 예시 + 양수를 표현한다. 실제로는 사용할 필요가 없다. + 3 : 양수3 - 음수를 표현한다. - 3 : 음수 3 ++ 증가(increment) 연산자로 항의 값을 1씩 증가 시킨다. 3 + + : 3+1 -- 감소(Decrement) 연산자 3 - - : 3-1 전위 연산자 ++ i 연산하고 후에 출력된다. (증감을 먼저 한 후 다른 연사자를 연산한다.) 후위 연산자 i ++ 출력 후 메모리상에서만 1씩 증감 된다. (다른 연산자를 먼저 연산한 후 나중에 연산을 처리한다.) ② 이항연산자 : 피연산자가 두개 존재 ex. x = y..
박도비
'논리연산자'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