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 ON/자격증
공부를 하고 있긴한데, 실기시험이 4월달이라 공부를 하고는 있긴한데 시간이 많이 남다보니 간절하지도 않고 공부하기도 싫어서 좀 똑똑하게 공부하고 싶어서 찾아보다가 기출분석과 합격전략을 먼저 세우기로 했다 ! 도움을 받은 것은 유튜브에 돌아다니는 영상을 먼저 참고 하기로 했다. 약술형은 2022년부터 출제가 되지 않고 있다 ! 약술형에 대해서 대비하지 않고 키워드 중심으로 공부하는데 좋을 것 같다 ! 가장 많이 출제하는 SQL 문은 빈칸작성에 대해서 많이 나오고 프로그래밍 언어 관련해서는 출력결과에 대해서 많이 물어보는걸 확인할 수 있다 ! 음 ! 일단 SQL / 프로그래밍 언어 /응용 SW 기초 기술활용부분을 열심히 공부하면될 것 같다 어차피 12문제만 맞으면 되니까 SQL / 프로그래밍은 좀 확실하게 ..
· ON/자격증
들어가기 전 2024년 정보처리기사 실기 공부를 위해 작성한 것으로 수제비 2023 책으로 공부를 하여 정리한 것입니다. 아래 아이콘으로 기준을 나눠 공부를 진행 했습니다. 📝 서술형 ✍ 약술형 📟 계산 🌞 기출 🎨 중요하진 않지만 확인필요 4. 인터페이스 구현 01. 인터페이스 설계 확인 01. 인터페이스 설계 확인은 이전시간에 배웠던 EAI /ESB 관련 내용이니 편안하게 읽어보기를 ✍ 1. EAI 방식 : 기업에서 운영되는 서로 다른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 간의 정보를 전달, 연계, 통합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솔루션 ✍ 1-1) EAI 구축 유형 - 포인트 투 포인트 : 기초적인 통합방법 / 1:1 단순 통합 / 솔루션을 구매하지 않고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도 통합 가능 - 허브 앤 스포크 : 중앙 집..
· ON/자격증
들어가기 전 2024년 정보처리기사 실기 공부를 위해 작성한 것으로 수제비 2023 책으로 공부를 하여 정리한 것입니다. 아래 아이콘으로 기준을 나눠 공부를 진행 했습니다. 📝 서술형 ✍ 약술형 📟 계산 🌞 기출 🎨 중요하진 않지만 확인필요 4. 통합구현 연계 메커니즘 구성은 딱히 출제되는 것 같진 않는 것 같다. 편안하게 읽어보기를 01. 연계 메커니즘 구성 1. 연계방식의 분류 직접연계 간접연계 장점 연계 및 통합 구현이 단순하며 용이함 개발 소요 비용 및 기간이 짧음 중간 매개체가 없으므로 데이터 연계 처리 성능이 대체로 좋음 서로 상이한 네트워크,프로토콜 연께 및 통합 가능 인터페이스 변경 시에도 장애나 오류 없이 서비스 가능 로직을 자유롭게 반영 가능 단점 시스템 간의 결합도가 높아 시스템 변경..
· ON/자격증
들어가기 전 2024년 정보처리기사 실기 공부를 위해 작성한 것으로 수제비 2023 책으로 공부를 하여 정리한 것입니다. 아래 아이콘으로 기준을 나눠 공부를 진행 했습니다. 📝 서술형 ✍ 약술형 📟 계산 🌞 기출 🎨 중요하진 않지만 확인필요 3. 데이터입출력구현 01. 논리 데이터 저장소 확인 📝 1. 데이터모델 : 현실세계의 정보를 인간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추상화하여 표현한 모델이다. ✍ 2. 데이터모델의 절차 1) 개념적 : 현실세계 정보를 추상적, 개념적으로 표현 / E-R 다이어그램 2) 논리적 : 목표 DBMS 설정, 스키마 설계, 정규화 수행 3) 물리적 : 객체생성(테이블, 뷰, 인덱스 등) / 반정규화 수행 📝 - 정규화 : 데이터의 중복을 제거하여 이상현상을 방지하는 과정 1차정..
· ON/자격증
들어가기 전 2024년 정보처리기사 실기 공부를 위해 작성한 것으로 수제비 2023 책으로 공부를 하여 정리한 것입니다. 아래 아이콘으로 기준을 나눠 공부를 진행 했습니다. 📝 서술형 ✍ 약술형 📟 계산 🌞 기출 🎨 중요하진 않지만 확인필요 1. 요구사항확인 01. UI 요구사항확인 📝 1. UX : 제품과 시스템, 서비스등을 사용자가 직/간접적으로 경험하면서 느끼고 생각하는 총제적 경험을 의미한다. ✍ 2. UI 유형 1) CLI : 명령어를 텍스트로 입력 2) GUI : 그래픽 환경을 기반으로 마우스나 전자펜을 이용 3) NUI : 신체부위를 이용 4) OUI : 현실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 ✍ 3. UI 설계유형 1) 직관성: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어야함 2) 유연성 : 사용자 요구사항을..
· ON/자격증
들어가기 전 2024년 정보처리기사 실기 공부를 위해 작성한 것으로 수제비 2023 책으로 공부를 하여 정리한 것입니다. 아래 아이콘으로 기준을 나눠 공부를 진행 했습니다. 📝 서술형 ✍ 약술형 📟 계산 🌞 기출 🎨 중요하진 않지만 확인필요 1. 요구사항확인 01.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 1. SDLC(소프트웨어 생명주기) : 시스템 요구분석부터 유지보수까지 전 공정을 체계화한 절차이다. 🎨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모델 프로세스 요구사항분석 → 설계 → 구현 → 테스트 →유지보수 ✍ 2. SDL모델종류 1) 폭포수모델 : 순차적 모형 / 고전적 생명주기 / 단계를 마무리 지은 후 넘어가는 모델 2) 프로토타이핑모델 : 고객이 요구한 기능을 구현하고 고객의 피드백을 반영 3) 나선형모델 : 위험을 최소화하..
들어가기 전 해당 내용은 자바의 신 3판을 읽고 내용 정리 및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자바의 신 Vol 1: 기초 문법편 | 이상민 - 교보문고 자바의 신 Vol 1: 기초 문법편 | 현장 전문가가 쓴 자바 기초 입문서다. NAVER, NHN, SKPlanet 등에서 성능 전문가의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자바를 실무에 맞게 제대로 쓸 줄 알게 해주는 입문서를 목 product.kyobobook.co.kr 10장. 자바는 상속이라는 것이 있어요 1. 상속 상속은 부모 클래스에 선언되어 있는 public 및 protected 로 선언되어 있는 모든 변수와 메소드를 내가 갖고 있는 것 처럼 사용할 수 있다. 즉 다른 패키지에 선언된 부모 클래스의 접근제어자가 없거나 private로 선언된 것들은 자식..
들어가기 전 해당 내용은 자바의 신 3판을 읽고 내용 정리 및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자바의 신 Vol 1: 기초 문법편 | 이상민 - 교보문고 자바의 신 Vol 1: 기초 문법편 | 현장 전문가가 쓴 자바 기초 입문서다. NAVER, NHN, SKPlanet 등에서 성능 전문가의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자바를 실무에 맞게 제대로 쓸 줄 알게 해주는 입문서를 목 product.kyobobook.co.kr 9장. 자바를 배우면 패키지와 접근 제어자는 꼭 알아야 해요 1. 패키지 클래스들을 구분 짓는 폴더와 비슷한 개념이다.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클래스들을 분류하지 않으면 이름이 중복되거나, 어떤 클래스가 어떤 일을 하는지 혼동되는 일이 발생한다. 그래서 존재하는 것이 바로 "패키지" 이다..
박도비
'ON'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