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이전 회사 친구들을 만났다.
기획자일때 두명의 개발자와 굉장히 친했는데 두명의 친구를 오랜만에 만나는 날에
그 친구 중 한명이 책을 추천 해 주면서,
"내가 너라면 뭘 공부해야할지 모를 것 같은데 지금 너가 나라면 난 이 책을 추천해주고 싶어 ! 한번 읽어봐
아마 넌 공부를 할때 이건 이거 아닌가? 맞나? 이런식으로 공부했을거야 그랬다면 이거 꼭 읽어! "
해서 한번 구매를 해보았다.
자바의 신 VOL.1 - 예스24
현장 전문가가 쓴 자바 기초 입문서다. NAVER, NHN, SKPlanet 등에서 성능 전문가의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자바를 실무에 맞게 제대로 쓸 줄 알게 해주는 입문서를 목표를 만들었다. 현장 중심형 자
m.yes24.com
리뷰할 책은 '자바의 신' 이다.
뭐 아는 사람이라면 알 수 도 있고 본 사람도 있을 수도 있겠다.
운이 좋게 10월 6일날 3판이 나왔으니 차근차근 읽고 하나하나 글을 작성하겠다!
들어가기 전
해당 내용은 자바의 신 3판을 읽고 내용 정리 및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1장. 프로그래밍이란 무엇인가?
1. 프로그래밍이란
: 컴퓨터에게 할 일을 가르치는 것이다.
그렇다면 프로그래밍을 한다는 것은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어떤 기능들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프로그램을 만들려면 언어가 필요하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언어가 필요하듯이
사람과 컴퓨터 사이에도 언어가 필요하다. 이러한 언어를 프로그래밍 언어라고 한다.
2. 객체지향 언어
자바와 같은 언어를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 Programming Language)라고 한다.
지금까지 대부분이 프로그래밍 언어들을 현실과 동떨어져있다. 하지만 객체지향 언어의 등장으로 현실 세계를 프로그램으로 표현할 수 있다.
3. 클래스와 메소드 란
메소드는 자바에서 어떤 값을 주고 결과를 넘겨 받는 것을 메소드(method)라고 하며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 메소드 구성형식
public boolean checkPassword(String password) {
// 중간내용
}
- 메소드 구성형식 설명
[접근제어자] [리턴타입] [메소드이름](매개변수) {
// 중간내용
}
또한 메소드는 클래스에 소속되어 있어야 한다.
클래스는 자바의 가장 작은 단위이며 상태와 행동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지만 없을 수도 있다.
작성 방법은 아래와 같다 class명 앞에 class라는 단어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public class 클래스명 {}
ex) public class Calculater {}
또한 클래스는 상태와 행동을 가지고 있어야만 한다.
상태는 클래스의 특성을 결정 짓는 것을 말하며 클래스 안 메소드 밖에 정의한다.
그렇다면 아래 코드를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public class Calculator {
public int add(int num1, int num2){
int sum;
sum = num1 + num2;
return sum;
}
}
그림으로 형상화해보면 아래와 같겠다.
num1 , num2를 더하는 add() 메소드가 있고 return 값을 만나서 어떤 값을 돌려 줄것이다.
(num1 = 5 num2 = 3이라고 가정해보면 sum은 8을 return 해줄 것이다.)

4. 세미콜론
모든 자바 코드의 한줄이 끝날때에는 세미콜론(;)를 적어주어야만 한다. 그렇지 않으면 다음줄도 같은 줄로 생각한다.
5. 예약어
예약어되어 있으니까 쓰지 못하는 언어라고 생각하면 쉬울 것 같다.
예약어는 클래스, 메소드, 변수의 이름으로 사용 할 수 없다.
정리해보자.
질문에 대한 나의 정답을 적은 것이다.
Q. 메소드가 뭔가요?
: 클래스의 행위며, 어떤 값을 넣으면 결과를 돌려 주는것
Q. 클래스가 갖고 있어야 한다고 한 두 가지가 뭐죠?
: 상태와 행동이다.
Q. 메소드에서 결과를 돌려주려면 어떤 예약어를 사용해야 하나요?
: return
'ON > 개발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리뷰] 자바의 신 3판 - 3장.자바를 제대로 알려면 객체가 무엇인지를 알아야 해요 (1) | 2023.12.04 |
---|---|
[책리뷰] 자바의 신 3판 - 2장.Hello God Of Java (0) | 2023.12.02 |
[ 개발지식] JUnit이란 ? 음 그럼 단위테스트 란 ? (0) | 2023.11.10 |
[개발지식] 모호한 개념인 인터페이스를 쉽게 정리해보자 ! 인터페이스란 무엇인가 ? (1) | 2023.11.08 |
[개발지식] 자바 백엔드 웹 기술 역사 (Servlet에서 Spring Boot까지 이야기) (0) | 2023.11.06 |
오랜만에 이전 회사 친구들을 만났다.
기획자일때 두명의 개발자와 굉장히 친했는데 두명의 친구를 오랜만에 만나는 날에
그 친구 중 한명이 책을 추천 해 주면서,
"내가 너라면 뭘 공부해야할지 모를 것 같은데 지금 너가 나라면 난 이 책을 추천해주고 싶어 ! 한번 읽어봐
아마 넌 공부를 할때 이건 이거 아닌가? 맞나? 이런식으로 공부했을거야 그랬다면 이거 꼭 읽어! "
해서 한번 구매를 해보았다.
자바의 신 VOL.1 - 예스24
현장 전문가가 쓴 자바 기초 입문서다. NAVER, NHN, SKPlanet 등에서 성능 전문가의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자바를 실무에 맞게 제대로 쓸 줄 알게 해주는 입문서를 목표를 만들었다. 현장 중심형 자
m.yes24.com
리뷰할 책은 '자바의 신' 이다.
뭐 아는 사람이라면 알 수 도 있고 본 사람도 있을 수도 있겠다.
운이 좋게 10월 6일날 3판이 나왔으니 차근차근 읽고 하나하나 글을 작성하겠다!
들어가기 전
해당 내용은 자바의 신 3판을 읽고 내용 정리 및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1장. 프로그래밍이란 무엇인가?
1. 프로그래밍이란
: 컴퓨터에게 할 일을 가르치는 것이다.
그렇다면 프로그래밍을 한다는 것은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어떤 기능들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프로그램을 만들려면 언어가 필요하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언어가 필요하듯이
사람과 컴퓨터 사이에도 언어가 필요하다. 이러한 언어를 프로그래밍 언어라고 한다.
2. 객체지향 언어
자바와 같은 언어를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 Programming Language)라고 한다.
지금까지 대부분이 프로그래밍 언어들을 현실과 동떨어져있다. 하지만 객체지향 언어의 등장으로 현실 세계를 프로그램으로 표현할 수 있다.
3. 클래스와 메소드 란
메소드는 자바에서 어떤 값을 주고 결과를 넘겨 받는 것을 메소드(method)라고 하며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 메소드 구성형식
public boolean checkPassword(String password) {
// 중간내용
}
- 메소드 구성형식 설명
[접근제어자] [리턴타입] [메소드이름](매개변수) {
// 중간내용
}
또한 메소드는 클래스에 소속되어 있어야 한다.
클래스는 자바의 가장 작은 단위이며 상태와 행동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지만 없을 수도 있다.
작성 방법은 아래와 같다 class명 앞에 class라는 단어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public class 클래스명 {}
ex) public class Calculater {}
또한 클래스는 상태와 행동을 가지고 있어야만 한다.
상태는 클래스의 특성을 결정 짓는 것을 말하며 클래스 안 메소드 밖에 정의한다.
그렇다면 아래 코드를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public class Calculator {
public int add(int num1, int num2){
int sum;
sum = num1 + num2;
return sum;
}
}
그림으로 형상화해보면 아래와 같겠다.
num1 , num2를 더하는 add() 메소드가 있고 return 값을 만나서 어떤 값을 돌려 줄것이다.
(num1 = 5 num2 = 3이라고 가정해보면 sum은 8을 return 해줄 것이다.)

4. 세미콜론
모든 자바 코드의 한줄이 끝날때에는 세미콜론(;)를 적어주어야만 한다. 그렇지 않으면 다음줄도 같은 줄로 생각한다.
5. 예약어
예약어되어 있으니까 쓰지 못하는 언어라고 생각하면 쉬울 것 같다.
예약어는 클래스, 메소드, 변수의 이름으로 사용 할 수 없다.
정리해보자.
질문에 대한 나의 정답을 적은 것이다.
Q. 메소드가 뭔가요?
: 클래스의 행위며, 어떤 값을 넣으면 결과를 돌려 주는것
Q. 클래스가 갖고 있어야 한다고 한 두 가지가 뭐죠?
: 상태와 행동이다.
Q. 메소드에서 결과를 돌려주려면 어떤 예약어를 사용해야 하나요?
: return
'ON > 개발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리뷰] 자바의 신 3판 - 3장.자바를 제대로 알려면 객체가 무엇인지를 알아야 해요 (1) | 2023.12.04 |
---|---|
[책리뷰] 자바의 신 3판 - 2장.Hello God Of Java (0) | 2023.12.02 |
[ 개발지식] JUnit이란 ? 음 그럼 단위테스트 란 ? (0) | 2023.11.10 |
[개발지식] 모호한 개념인 인터페이스를 쉽게 정리해보자 ! 인터페이스란 무엇인가 ? (1) | 2023.11.08 |
[개발지식] 자바 백엔드 웹 기술 역사 (Servlet에서 Spring Boot까지 이야기) (0) | 2023.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