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기 전
해당 내용은 자바의 신 3판을 읽고 내용 정리 및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자바의 신 Vol 1: 기초 문법편 | 이상민 - 교보문고
자바의 신 Vol 1: 기초 문법편 | 현장 전문가가 쓴 자바 기초 입문서다. NAVER, NHN, SKPlanet 등에서 성능 전문가의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자바를 실무에 맞게 제대로 쓸 줄 알게 해주는 입문서를 목
product.kyobobook.co.kr
2장. Hello God Of Java
1. Java 설치
윈도우라면 직접 설치를 해야지만 사용할 수 있다.
리눅스라면 자바가 설치되어 있으나, 오래된 버전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므로 최신버전을 받아 공부하는 것이 좋다.
💡 어떻게 cmd에서 Java라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걸까?
자바를 설치한 디렉터리의 bin 디렉터리를 보면 각종 exe 파일이 존재할 것이다.
(맥이나 리눅스를 사용한다면 exe 파일이라는 것은 없을 것이다.)
윈도우의 cmd 창에서 프로그램이 실행되려면 그 프로그램의 확장자는 exe, com, bat 중 하나로 끝나야먄 실행 할 수 있다.
우리가 뒤에 확장자를 붙이지 않아도 Path에서 확장자가 있는 파일을 찾아서 실행한다.
거꾸로 말하면, 어떤 프로그램이 cmd 창의 어떤 위치에서라도 실행할 수 있으려면 Path에 지정되어 있으면 된다.
현재 사용하는 윈도우에 지정되어 있는 Path를 확인하려면 cmd 창에서 “set %PATH%” 라고 쳐서 확인할 수 있다.
💡 개발툴
자바를 배우려면 자바 프로그램을 짜는 툴이 있어야한다.
가장 유명한 툴로는 Eclips와 InteliJ라는 툴이 있다.
( 처음 개발 할때 툴을 보고 Java같은 언어 같은건가...혼자 그랬었지...)
💡 CMD 창에서 자바 컴파일 및 실행하기
자바 컴파일 명령어
javac {파일명}.java
자바 실행 명령어
java {파일명}
💡 컴파일 과정

프로그래밍 언어들은 텍스트로 된 파일로 실행 할 수 없다.
즉 내가 만든 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엮어주는 작업이 컴파일이다.
.java라는 확장자로 되어 있는 소스를 컴파일하면 .class라는 확장자를 가진 파일이 생성되어 디스크에 저장된다.
이 .class 파일은 바이너리 파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에디터에서 열어도 제대로 보기가 어렵다.
( ❗ 바이너리 파일 : 0과 1로 구성되어 있는 2진법으로 컴퓨터가 읽기 위한 파일은 대부분 파이너리로 되어 있다)
javac.exe라는 프로그램이 그 역할을 수행한다. 컴파일을 할때 내가 만든 프로그램이 규칙을 지키지 않았다면 컴파일러는 오류를 내뿜으면서 컴파일이 되지 않는다.
컴파일을 마친 클래스 파일은 JVM에서 읽어서 운영체제에서 실행된다.
💡 main()
" 실행을 목적으로 하는 " 모든 자바 클래스는 main() 메소드가 반드시 있어야한다.
java명령으로 실행하는 자바 프로그램의 진입점(시작점)은 main()메소드이기 때문이다.
❗ 암기 main 메소드는 반드시 다음과 같이 선언해야한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 ars) {
}
- public : 접근제어자로 나중에 자세히 배워보자
- static : 예약어로 메소드를 static으로 선언하면 객체를 생성하지 않아도 호출 할 수 있다.
- void : 메소드가 어떤 값을 넘겨줄지 정하는데 void로 작성하게 되면 돌려줄게 없다는 것이다.
- main : 메소드 이름으로 반드시 이 이름으로 써야한다.
- String [] args : 매개변수로 args는 배열이다.
💡 주석
컴파일 시 출력되지 않으며 총 3개의 주석이 있다.
(1) 한줄 주석
// 디버그용으로 사용하지 않는 코드를 감출때 많이 사용된다.
// 소스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적어 놓을 때 사용된다.
(2) 블록 주석
/*
메소드 안의 여러 줄을 주석 처리하거나,
메소드 자체를 주석 처리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
(3) 문서용 주석
/**
* 클래스 선언 바로 앞이나, 메소드 선언 바로 앞에
* 있으면 문서용 주석으로 인식된다.
*/
💡 메소드 구성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ystem.out.println("Calculator class started!");
}
{접근제어자} {리턴타입} {메소드 이름} ({매개변수 목록}) {예외목록} {
메소드 내용
}
// 예외 목록은 지정하지 않아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 반드시 있어야할 것은 리턴타입, 메소드이름, 메소드 내용이다.
정리해보자.
책에 있는 질문에 대한 나의 정답을 적은 것이다.
'ON > 개발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리뷰] 자바의 신 3판 - 4장.정보를 어디에 넣고 싶은데 (0) | 2023.12.04 |
---|---|
[책리뷰] 자바의 신 3판 - 3장.자바를 제대로 알려면 객체가 무엇인지를 알아야 해요 (1) | 2023.12.04 |
[책리뷰] 자바의 신 3판 - 1장.프로그래밍이란 무엇인가 ? (1) | 2023.12.01 |
[ 개발지식] JUnit이란 ? 음 그럼 단위테스트 란 ? (0) | 2023.11.10 |
[개발지식] 모호한 개념인 인터페이스를 쉽게 정리해보자 ! 인터페이스란 무엇인가 ? (1) | 2023.11.08 |
들어가기 전
해당 내용은 자바의 신 3판을 읽고 내용 정리 및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자바의 신 Vol 1: 기초 문법편 | 이상민 - 교보문고
자바의 신 Vol 1: 기초 문법편 | 현장 전문가가 쓴 자바 기초 입문서다. NAVER, NHN, SKPlanet 등에서 성능 전문가의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자바를 실무에 맞게 제대로 쓸 줄 알게 해주는 입문서를 목
product.kyobobook.co.kr
2장. Hello God Of Java
1. Java 설치
윈도우라면 직접 설치를 해야지만 사용할 수 있다.
리눅스라면 자바가 설치되어 있으나, 오래된 버전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므로 최신버전을 받아 공부하는 것이 좋다.
💡 어떻게 cmd에서 Java라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걸까?
자바를 설치한 디렉터리의 bin 디렉터리를 보면 각종 exe 파일이 존재할 것이다.
(맥이나 리눅스를 사용한다면 exe 파일이라는 것은 없을 것이다.)
윈도우의 cmd 창에서 프로그램이 실행되려면 그 프로그램의 확장자는 exe, com, bat 중 하나로 끝나야먄 실행 할 수 있다.
우리가 뒤에 확장자를 붙이지 않아도 Path에서 확장자가 있는 파일을 찾아서 실행한다.
거꾸로 말하면, 어떤 프로그램이 cmd 창의 어떤 위치에서라도 실행할 수 있으려면 Path에 지정되어 있으면 된다.
현재 사용하는 윈도우에 지정되어 있는 Path를 확인하려면 cmd 창에서 “set %PATH%” 라고 쳐서 확인할 수 있다.
💡 개발툴
자바를 배우려면 자바 프로그램을 짜는 툴이 있어야한다.
가장 유명한 툴로는 Eclips와 InteliJ라는 툴이 있다.
( 처음 개발 할때 툴을 보고 Java같은 언어 같은건가...혼자 그랬었지...)
💡 CMD 창에서 자바 컴파일 및 실행하기
자바 컴파일 명령어
javac {파일명}.java
자바 실행 명령어
java {파일명}
💡 컴파일 과정

프로그래밍 언어들은 텍스트로 된 파일로 실행 할 수 없다.
즉 내가 만든 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엮어주는 작업이 컴파일이다.
.java라는 확장자로 되어 있는 소스를 컴파일하면 .class라는 확장자를 가진 파일이 생성되어 디스크에 저장된다.
이 .class 파일은 바이너리 파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에디터에서 열어도 제대로 보기가 어렵다.
( ❗ 바이너리 파일 : 0과 1로 구성되어 있는 2진법으로 컴퓨터가 읽기 위한 파일은 대부분 파이너리로 되어 있다)
javac.exe라는 프로그램이 그 역할을 수행한다. 컴파일을 할때 내가 만든 프로그램이 규칙을 지키지 않았다면 컴파일러는 오류를 내뿜으면서 컴파일이 되지 않는다.
컴파일을 마친 클래스 파일은 JVM에서 읽어서 운영체제에서 실행된다.
💡 main()
" 실행을 목적으로 하는 " 모든 자바 클래스는 main() 메소드가 반드시 있어야한다.
java명령으로 실행하는 자바 프로그램의 진입점(시작점)은 main()메소드이기 때문이다.
❗ 암기 main 메소드는 반드시 다음과 같이 선언해야한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 ars) {
}
- public : 접근제어자로 나중에 자세히 배워보자
- static : 예약어로 메소드를 static으로 선언하면 객체를 생성하지 않아도 호출 할 수 있다.
- void : 메소드가 어떤 값을 넘겨줄지 정하는데 void로 작성하게 되면 돌려줄게 없다는 것이다.
- main : 메소드 이름으로 반드시 이 이름으로 써야한다.
- String [] args : 매개변수로 args는 배열이다.
💡 주석
컴파일 시 출력되지 않으며 총 3개의 주석이 있다.
(1) 한줄 주석
// 디버그용으로 사용하지 않는 코드를 감출때 많이 사용된다.
// 소스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적어 놓을 때 사용된다.
(2) 블록 주석
/*
메소드 안의 여러 줄을 주석 처리하거나,
메소드 자체를 주석 처리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
(3) 문서용 주석
/**
* 클래스 선언 바로 앞이나, 메소드 선언 바로 앞에
* 있으면 문서용 주석으로 인식된다.
*/
💡 메소드 구성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ystem.out.println("Calculator class started!");
}
{접근제어자} {리턴타입} {메소드 이름} ({매개변수 목록}) {예외목록} {
메소드 내용
}
// 예외 목록은 지정하지 않아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 반드시 있어야할 것은 리턴타입, 메소드이름, 메소드 내용이다.
정리해보자.
책에 있는 질문에 대한 나의 정답을 적은 것이다.
'ON > 개발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리뷰] 자바의 신 3판 - 4장.정보를 어디에 넣고 싶은데 (0) | 2023.12.04 |
---|---|
[책리뷰] 자바의 신 3판 - 3장.자바를 제대로 알려면 객체가 무엇인지를 알아야 해요 (1) | 2023.12.04 |
[책리뷰] 자바의 신 3판 - 1장.프로그래밍이란 무엇인가 ? (1) | 2023.12.01 |
[ 개발지식] JUnit이란 ? 음 그럼 단위테스트 란 ? (0) | 2023.11.10 |
[개발지식] 모호한 개념인 인터페이스를 쉽게 정리해보자 ! 인터페이스란 무엇인가 ? (1) | 2023.11.08 |